▲ 대형마트에서 돼지고기를 고르는 소비자
소비자들이 가정에서 돼지고기를 구매할 때 육색을 가장 많이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이 지난 7월 9일부터 19일까지 전국 성인남녀 17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돼지고기 소비 실태 및 인식 조사에서 나타났다.
조사 결과 가정에서 돼지고기를 주 1회 이상 먹는 비율은 78%로 나타났다. 용도별 소비량은 ‘구이용’이 50.5%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불고기·주물럭(22.2%)’ ‘수육·보쌈(14.8%)’순으로 조사됐다.
돼지고기 품질을 판단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육색(63.6%)’과 ‘원산지(54.4%)’ ‘이력정보·도축일시·유통기한(44.4%)’이라고 답했다. 소비자들은 돼지고기 맛은 ‘살코기와 지방의 비율(69.8%)’ ‘부드러운 정도(55.8%)’에 의해 결정된다고 생각했다.
국산 대 수입 돼지고기 소비량은 국산이 79.1%로 수입산(20.9%)보다 4배 가량 높았다. 2019년 조사결과와 비교하면 수입 돼지고기 소비량은 8.2% 포인트 감소했다. 그 이유로 ‘품질(46%)’과 ‘맛(44%)’을 꼽았다.
소비자들은 소고기 보다 가격이 저렴한 돼지고기를 선호하지만 수입 돼지고기의 품질과 맛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 때문에 국산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가정에서 소고기와 돼지고기를 구매 할 때 모두 대형마트 정육점 농·축협 마트 온라인 동네 슈퍼 순으로 나타났다.
【곽상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