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그플랜 소식

HOME > 피그플랜 소식 > 공지사항

‘생마커 백신’ 접종…돼지열병 청정화 본격화 2024-02-14

[한국농어민신문 김경욱 기자]

민·관·학 합동방역대책위원회가 7일 진행한 제1차 돼지열병 대책반 회의에서 정부 관계자를 비롯한 참석자들 모두 생마커 백신을 통한 돼지열병 청정화에 공감대를 형성하며 본격적인 대응 행보도 예고했다.
민·관·학 합동방역대책위원회가 7일 진행한 제1차 돼지열병 대책반 회의에서 정부 관계자를 비롯한 참석자들 모두 생마커 백신을 통한 돼지열병 청정화에 공감대를 형성하며 본격적인 대응 행보도 예고했다.

항체 감별 가능하고
임신모돈 안전성 확보
도축 출하일령 단축 등
롬주 백신보다 뛰어나

정부도 “긍정적 효과 확인”
연간 20억 예산 확보 계획


민관이 돼지 생산성 정상화를 위한 필수 요건인 ‘생마커 백신’ 전국 접종을 통한 ‘돼지열병(CSF) 청정화’에 나선다. 현재 주 접종되는 롬주(LOM) 백신의 경우 모돈 안전성이 위협받고 생산성 부작용도 야기해 이를 효과가 입증된 생마커 백신으로 대체하겠다는 게 골자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대한한돈협회를 비롯한 민·관·학이 함께하는 합동방역대책위원회(공동 위원장 최정록 농식품부 방역정책국장·손세희 한돈협회장)는 지난 7일 서울 서초동 제2축산회관 회의실에서 제1차 돼지열병 대책반 회의를 갖고 지난해 12월 17일 출범한 합동방역대책위의 첫 ‘성과물’을 냈다. 이날 참석한 민·관·학 관계자들은 생마커 백신 전국 접종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며 이를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착수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날 회의에 따르면 돼지 콜레라 바이러스에 의한 돼지 급성 열성 전염병이자 폐사율이 높은 돼지열병은 국내 양돈장에서 2003년 72건이 발생한 뒤 2008년 7건, 2013년 1건이 확진됐다. 이후 2016년 2건 발생 뒤 2017년부터 지금까지 발생하지 않고 있다. 롬주 백신을 통한 비발생을 유도했기 때문이다. 가축전염병예방법상 1종 전염병인 돼지열병 백신 접종은 의무화돼 있다.

기존 롬주 백신은 임신 모돈에 대한 안정성이 위협받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어 한돈업계에선 이런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생마커 백신의 전국 접종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기존 롬주 백신은 임신 모돈에 대한 안정성이 위협받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어 한돈업계에선 이런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생마커 백신의 전국 접종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롬주 백신은 항체 감별 진단이 안 되는 데다 임신 모돈 안전성이 매우 불안정하고 백신 접종 시 생산성에 일시적인 부작용까지 초래한다. 반면 생마커 백신은 항체 감별이 되는 데다 임신 모돈 안전성도 확보됐고 도축 출하일령도 1주일가량 단축하는 등 여러 긍정적인 효과를 도모한다. 다만 롬주 백신이 1회 접종 시 260원, 생마커 백신은 500원가량 들어가는 단가 차이로 지방비 50%(국비 50%)가 투입되는 돼지열병 백신 상황상 재정이 열악한 지자체에서 롬주 위주로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이에 이날 회의에선 생마커 백신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확대 필요성이 제시됐다. 무엇보다 생마커 백신은 정부의 물가 안정책과도 부합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희영 한돈협회 이사(동산농장 대표)는 “홍성에선 롬주 백신과 생마커 백신을 선택해서 접종하고 있는데, 생마커 백신을 사용할 때 돼지 스트레스가 확연히 줄어들었다. 생마커를 쓰다 다시 롬주를 쓰면 돼지가 자지러지는 현상까지 발생했다”고 전했다.

문두환 대한수의사회 부회장도 “그동안 농가에서 롬주 백신을 접종하며 큰 손실을 봤다. 생마커 백신을 접종하면 이런 생산성이 정상화되는 길이 될 것”이라며 “정부에서 물가 안정을 얘기하고 한돈산업의 경우 글로벌 경쟁을 해야 하는데 생마커 백신은 생산성 정상화를 통해 이런 문제도 해결할 수 있기에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생마커 백신 접종에 나서야 한다”고 제안했다.

생마커백신 접종에 대해 농식품부에서도 적극적인 의지를 드러냈다.

이주원 농식품부 구제역방역과 사무관은 “생마커 백신에 대한 여러 긍정적인 효과는 확인됐다. 다만 지방비를 추가로 확보하지 못하는 지자체에서 롬주 백신을 농가에 공급하고, 지방비를 추가로 부담하는 지자체는 생마커 백신을 공급하고 있다”며 “이에 예산에 생마커 접종 예산을 넣는 방향으로 진행하려 한다. 연간 20억원 정도 국비만 증액되면 할 수 있는 부분이기에 정당성을 확보하며 예산 확보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예전에 돼지열병 청정화를 추진하다 2016년 사천에서 돼지열병이 발생하는 등의 상황으로 중단됐지만 그때와 지금은 여건이 다르다. 생마커백신이 있어 감별 진단이 가능하고 생마커 백신에 대한 여러 장점도 있기에 이제 돼지열병은 청정화에 잘 맞춰진 질병이 될 것”이라며 “향후 구제역 청정화가 이뤄지면 돼지열병과 구제역 청정화를 통해 돼지고기 수출도 타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청정화 로드맵을 위해 학계에 연구 용역 검토도 부탁하려 한다”고 밝혔다.

구경본 방역대책위 대책반장(한돈협회 부회장)은 “방역대책위를 통해 구체적인 성과물이 나왔다. 민·관·학이 함께 공동 대응한다면 예산 확보를 통한 생마커 백신 전국 접종도 2025년부터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며 “다음 회의에선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이 매듭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경욱 기자 kimkw@agrinet.co.kr

기사원문 : http://www.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4942